사이트 내 전체검색

afb99c170e04ae98f088861069f6df08_1664159930_8215.jpg

afb99c170e04ae98f088861069f6df08_1664159930_9012.jpg

afb99c170e04ae98f088861069f6df08_1664159931_0133.jpg

afb99c170e04ae98f088861069f6df08_1664159931_1156.jpg

afb99c170e04ae98f088861069f6df08_1664159931_2012.jpg

afb99c170e04ae98f088861069f6df08_1664159931_2765.jpg

afb99c170e04ae98f088861069f6df08_1664159931_3792.jpg

afb99c170e04ae98f088861069f6df08_1664159931_4533.jpg
 

거리행진 중에 수만 명의 참가자들이 기후위기를 경고하며 도로 위에 드러눕는 다이인(die-in)’ 퍼포먼스를 펼쳤다. 기후위기는 눈앞에 닥친 재앙이다.


afb99c170e04ae98f088861069f6df08_1664160075_6815.jpg

afb99c170e04ae98f088861069f6df08_1664160075_7783.jpg

afb99c170e04ae98f088861069f6df08_1664160075_8617.jpg

얼마 전 유엔 산하 세계기상기구(WMO) 등 국제기구는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이 코로나 사태 이전보다 높아지고 있다고 발표했다. 9.24 기후정의행진은 내일 지구가 망한대도 자본의 이윤이 최우선이라는 자본가, 자본가 정부에 대한 엄중한 경고였다. 노동자계급은 거리와 현장에서 기후위기에 맞서는 실천을 지속적으로 만들어나가야 한다. 노동자 산업통제로 대표되는 집단적 계급투쟁의 힘을 유감없이 보여줄 때다.

afb99c170e04ae98f088861069f6df08_1664160129_9776.jpg
 
afb99c170e04ae98f088861069f6df08_1664160130_1026.jpg
 
', 'wr_link1' => '', 'wr_link2' =>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1166',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ht01', 'wr_password' => '6ca608063d61200c', 'wr_name' => '노해투', 'wr_email' => 'nohaetu@jinbo.net', 'wr_homepage' => 'nht.jinbo.net', 'wr_datetime' => '2022-09-26 11:42:31', 'wr_file' => '1', 'wr_last' => '2022-09-26 11:42:31', 'wr_ip' => '219.255.41.41', 'wr_facebook_user' => '', 'wr_twitter_user' => '', 'wr_1' => '0', 'wr_2' => '미디어국', 'wr_3' => '', 'wr_4' => '“불평등한 기후재난, 노동자가 막아내자!”, “기후위기의 주범에게 지구를 맡길 수 없다. 노동자가 세상을 운영하자!”', 'wr_5' => '', 'wr_6' => '', 'wr_7' => '', 'wr_8' => '', 'wr_9' => '', 'wr_10' => '', 'is_notice' => false, 'subject' => '사진 I 9.24 기후정의행진 - 노동자가 앞장서서 기후정의 실현하자', 'comment_cnt' => '', 'datetime' => '2022-09-26', 'datetime2' => '09-26', 'last' => '2022-09-26', 'last2' => '09-26', 'name' => '노해투', 'reply' => 0, 'icon_reply' => '', 'icon_link' => '', 'ca_name_href' => 'http://nht.jinbo.net/bbs/board.php?bo_table=online1&sca=%EC%82%AC%ED%9A%8C', 'href' => 'http://nht.jinbo.net/bbs/board.php?bo_table=online1&wr_id=1193', 'comment_href' => 'http://nht.jinbo.net/bbs/board.php?bo_table=online1&wr_id=1193', 'icon_new' => '', 'icon_hot' => '인기글', 'icon_secret' => '', 'link' => array ( 1 => NULL, 2 => NULL, ), 'link_href' => array ( 1 => 'http://nht.jinbo.net/bbs/link.php?bo_table=online1&wr_id=1193&no=1', 2 => 'http://nht.jinbo.net/bbs/link.php?bo_table=online1&wr_id=1193&no=2', ), 'link_hit' => array ( 1 => 0, 2 => 0, ), 'file' => array ( 'count' => '1', ), 'icon_file' => '첨부파일', ), 9 => array ( 'wr_id' => '1192', 'wr_num' => '-956', 'wr_reply' => '', 'wr_parent' => '1192', 'wr_is_comment' => '0', 'wr_comment' => '0', 'wr_comment_reply' => '', 'ca_name' => '사회', 'wr_option' => 'html1', 'wr_subject' => '기고 I 기후정의와 정의로운 산업전환 토론회를 다녀와서', 'wr_content' => '

편집자 주  지난 916일 노동해방투쟁연대(), 사회주의전망모임, 사회주의당건설초동모임이 함께 개최한 기후정의와 정의로운 산업전환, 노동자는 무엇을 할 것인가토론회가 진행됐다. (토론회 자료집은 <여기>에서, 토론회 동영상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했던 SK브로드밴드비정규직지부 정범채 동지가 토론회 후기를 <가자! 노동해방> 온라인신문에 보내왔다. 정범채 동지는 그동안 기후정의운동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가졌으나, 토론회를 통해 민주노조운동이 기후정의를 주요한 요구와 투쟁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5848bbbbf1d559daf7f440f6558d00b4_1663933478_1538.png
 16일 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백종성 동지

 

916() 저녁 노동해방투쟁연대(), 사회주의전망모임, 사회주의당건설초동모임이 공동 주최한 기후정의 토론회에 조합원들과 함께 참여했습니다. 기후 문제와 관련해서 기후위기, 기후재난, 기후불평등, 지구온난화, 산업전환, 탄소중립, ESG, RE100 등 쉽게 접하게 되는 단어들뿐만 아니라 생소한 말들도 많습니다. 그러나 의미도 제대로 모르겠고 무엇보다 노동자계급은 이런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대처해야 하는지 알고 싶었습니다. 토론회 제목부터가 <기후정의와 정의로운 산업전환. 노동자는 무엇을 할 것인가>여서 왠지 머릿속을 정리해 줄 것만 같았습니다. 

 

3시간 동안 이어진 토론회의 첫 순서는 기후정의운동, 노동자는 무엇을 할 것인가란 주제의 발제였습니다. 전태일을 불꽃으로도, 풀빵으로도 보는 관점의 차이부터 출발해서 기후정의운동의 다양한 흐름과 당면한 문제들을 알려주고 노동자계급이 어떻게 결합하고 어떤 요구와 전선을 만들어야 하는지 분명한 입장과 유쾌한 발제를 들었습니다.

 

그다음으로 각 부문에서 활동하는 동지들의 토론문을 들어보는 순서였습니다. 산업재편의 격랑 속에 위치한 발전소와 금속사업장 동지의 토론에 이어, 교육노동자 동지께서 학교라는 공간에서의 기후정의운동에 대해 얘기해 주셨습니다. 노동자가 주도하는 기후정의운동의 사례로 프랑스 정유회사 토탈에서 공장폐쇄에 맞선 노동자들의 투쟁도 들어 볼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 토론자로 학생사회주의연대 동지로부터 학생운동의 현재 지형과 기후정의운동에 대한 실천적 고민을 들어보았습니다. 이후 질의응답, 주장, 의견까지 나누며 3시간 가까이 진행된 토론회는 시간 관계상 924일 기후정의행진에서 다시 만날 것을 결의하고 마무리되었습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많은 것을 배우고 느낄 수 있었습니다. 나는 그리고 우리 노동자계급은 왜 기후정의 운동에 소극적이었을까요? 이제까지 기후정의 운동을 에코백을 메고, 개인 텀블러를 쓰고, 채식을 하고, 분리수거를 잘하는 등 개인적 실천의 영역이고, 여유 있고 고상한 이들의 운동처럼 느껴 왔다는 점 때문입니다. 그리고 노동자 주도의 산업재편을 말하면서 정부와 자본을 상대로 협의체를 만들고 추상적인 합의문을 만들어 내는 일련의 과정 속에 정작 정부와 자본의 책임을 묻는 투쟁을 찾아보기 어려웠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러 동지들이 발제와 의견으로 얘기하신 것처럼 노동자계급이 기후위기를 초래하는 자본과 정부를 향해 니네가 기후위기의 주범이다라고 분명히 해야 합니다. 노동자들이 산업통제를 하겠다고 나서야 하고, 기간산업과 전환산업에 대해 국유화 요구를 걸고 투쟁에 나서야 합니다. 지구를 살리는 노동시간 단축과 무료 공공교통망으로 탄소배출을 줄이자고 요구해야 합니다. 현장에서는 기후악당 기업들에 부품을, 서비스를, 노동을 제공하지 않겠다고 과감한 투쟁전선을 만들어 내야 하고 민주노조의 주요한 요구와 투쟁으로 자리매김해야 합니다. 이러한 요구와 투쟁이 대중화된다면 기후위기운동은 지구를 망치고 있는 자본주의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로 나아갈 것입니다. 멀어 보이는 길이지만 당장 시작하지 않으면 그 길은 더욱 멀어질 것입니다.

 

제가 있는 현장은 자본이 기후문제를 어떻게 대하는지 여실히 드러납니다. SK의 수많은 하청업체 중의 한 곳에서 일할 때는 SK의 통신 관련 업무만 하면 됐습니다. 그런데 이 많은 하청회사를 하나의 거대한 자회사(홈앤서비스)로 만들어 놓은 지금, 회사는 소규모 태양광 사업을 하려 했고, 현재는 전기차 충전기 영업과 설치를 강요하고 있습니다. 자본은 신생 먹거리를 발굴해서 회사도 살고 노동자도 살아야 한다”, “현재의 인력은 오버TO여서 유지하기 어렵다”, “회사가 물어오는 사업에 적극 협력해야 한다고 합니다. 기후위기 속에 산업의 변화는 자본에게는 그저 이윤 창출의 도구일 뿐입니다. 이러한 상황을 우리 노동자들에게 위기가 아니라 기회로 만들어야 합니다. 자본이 일이 줄고 있어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떠들면 우리 노동자들은 고정월급제로 생활임금을 요구하고, “21조를 실현할 적기다. 즉각 안전을 위해 2인 근무 실시하라고 요구해야 합니다.

 

이제 토론회가 준 영감을 어떻게 현장에서 실현할지 고민하고, 실천해보려고 합니다. 우선은 924일 기후정의행진을 조합원들과 같이 참여하는 것부터 시작하고자 합니다.

', 'wr_link1' => '', 'wr_link2' =>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2205',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ht01', 'wr_password' => '6ca608063d61200c', 'wr_name' => '노해투', 'wr_email' => 'nohaetu@jinbo.net', 'wr_homepage' => 'nht.jinbo.net', 'wr_datetime' => '2022-09-23 20:45:36', 'wr_file' => '2', 'wr_last' => '2022-09-23 20:45:36', 'wr_ip' => '59.10.253.170', 'wr_facebook_user' => '', 'wr_twitter_user' => '', 'wr_1' => '0', 'wr_2' => '정범채', 'wr_3' => 'SK브로드밴드비정규직지부', 'wr_4' => '', 'wr_5' => '', 'wr_6' => '', 'wr_7' => '', 'wr_8' => '', 'wr_9' => '', 'wr_10' => '', 'is_notice' => false, 'subject' => '기고 I 기후정의와 정의로운 산업전환 토론회를 다녀와서', 'comment_cnt' => '', 'datetime' => '2022-09-23', 'datetime2' => '09-23', 'last' => '2022-09-23', 'last2' => '09-23', 'name' => '노해투', 'reply' => 0, 'icon_reply' => '', 'icon_link' => '', 'ca_name_href' => 'http://nht.jinbo.net/bbs/board.php?bo_table=online1&sca=%EC%82%AC%ED%9A%8C', 'href' => 'http://nht.jinbo.net/bbs/board.php?bo_table=online1&wr_id=1192', 'comment_href' => 'http://nht.jinbo.net/bbs/board.php?bo_table=online1&wr_id=1192', 'icon_new' => '', 'icon_hot' => '인기글', 'icon_secret' => '', 'link' => array ( 1 => NULL, 2 => NULL, ), 'link_href' => array ( 1 => 'http://nht.jinbo.net/bbs/link.php?bo_table=online1&wr_id=1192&no=1', 2 => 'http://nht.jinbo.net/bbs/link.php?bo_table=online1&wr_id=1192&no=2', ), 'link_hit' => array ( 1 => 0, 2 => 0, ), 'file' => array ( 'count' => '2', ), 'icon_file' => '첨부파일', ), )?>
사회

의사 파업에 반대한다 - 그러나 정부의 소심한 의료정책에 희망이 있을까?

페이지 정보

최영익 조회 5,646회 2020-08-14 10:01

첨부파일

본문

 

70fd9b113ff8dca77597089aca0c2181_1597366811_6226.jpg
사진_보건의료노조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으로 의료 문제가 사회 전면에 부상했다. 이런 가운데 87일 전공의 파업에 이어, 814일 의사 파업이 진행된다. 이들의 요구의 핵심은 의사 인력 확대 시도 중단이다. “무분별한 의사 인력 증원은 의료비의 폭증, 의료의 질 저하를 초래한다는 게 명분이다. 노동자, 민중의 기본권 중 하나인 의료복지의 관점에서 이번 의사 파업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의사 인력 충원, 의료복지를 저해할까?

 

정부는 2022년부터 의대 입학 정원을 1년 평균 400명씩 늘려, 10년 동안 4,000명의 의사를 추가로 양성하겠다는 계획이다. 2006년 이후 의협 등의 반대로 의사 정원을 단 한 명도 늘리지 못한 이후 처음으로 이뤄지는 증원이다.

 

이런 의사 인력 증가는 불필요한 것일까? 2018년 기준 한국의 인구 1,000명당 의사는 2.04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3.48명의 65% 수준이다. 파업을 주도하는 의사협회는 급격한 저출생으로 1,000명당 의사 수가 앞으로 크게 늘어난다는 전망을 제시하지만, 마찬가지로 급격한 노령화와 평균수명 증가에 따른 의료 수요의 증가를 감안하면 전혀 설득력이 없다.

 

게다가 지역별 의료격차에 따른 의료 소외지역들을 검토하면 의사 인력 증가는 더욱 절실하다. 의사 인력이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돼 있어, 수도권이 아닌 지역에서는 의사 수가 너무나 부족하다. 지역별 의사 수는 인구 1,000명당 경북 1.4, 울산 1.5, 충남 1.5명 등으로 서울 3.1명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그 결과 의료서비스 이용률을 보면 2017년 기준 서울은 93%지만 경북은 23% 수준이다.

 

이런 격차는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더욱 분명히 드러났다. 신천지 관련 집단감염으로 대구·경북지역에서 코로나19가 급격히 확산했던 지난 2~3월에 지역 병상과 의료인력이 부족해 상황에 대처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다른 지역에서 의료인력을 임시로 수혈해야만 했다.

 

여기에는 지방 시·도 소재 의대에서 졸업한 의사가 해당 지역에서 계속 근무하는 비율이 매우 낮은 것도 영향을 미쳤다. 그 비율은 울산 7.0%, 경북 10.1%, 충남 16.6% 등에 불과하다. 지방에서 의대를 졸업한 의사의 대부분이 서울이나 수도권으로 떠나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꺼내든 카드는 4,000명의 증원된 의사 인력 중 3,000명을 지역 의사로 선발해 10년간 지역에 복무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대학별 의대 정원의 약 10%를 이렇게 추가로 배정하고, 전액 장학금을 준 뒤 지역에서 10년간 의무적으로 근무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런 정부의 조치는 마땅히 환영할 만하다. 이에 대한 의사협회의 반발은 전혀 동의할 수 없는 것이다. 다만 그런 조치만으로는 의료복지 확대와 지역별 의료격차를 해결하는 데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이 문제다. 인턴, 레지던트 등 전공의 수련 과정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지역에서 의무적으로 근무하는 기간은 5년 전후에 지나지 않는다. 이들의 대부분은 이후 수도권으로 떠날 것이므로 지역의 소외된 의료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형편없이 부족한 조치인 것이다.

 

코로나19 등 감염병 대비

 

코로나19를 겪으며 더욱 사활적인 사회적 과제로 떠오른 감염병 대비 측면에서도 이번 정부의 조치는 그야말로 최소한의 것이다. 증원된 4,000명의 의사 인력 중 나머지 1,000명이 신설된 공공의대를 통해 배출된다. 이 중 500명은 역학조사관·중증외상·소아외과 등 특수분야 인력으로, 나머지 500명은 기초과학 및 제약·바이오 분야 연구인력으로 충원해 의과학자로 육성한다.

 

의료복지 차원에서 공공적으로 작동하지 않은 채, 이윤 논리에 따른 민간 중심으로 의료가 작동하면서 진료 분야별 인력 불균등성이 대단히 심각하다. 가령 전문의 10만 명 중 감염내과는 277, 소아외과는 50명 정도라고 한다(202085일 연합뉴스 보도). 여기서 감염내과는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을 다루는 분야인데, 정말이지 턱없이 부족하다.

 

사스에서 신종플루까지 7, 신종플루에서 메르스까지 6, 메르스에서 코로나19까지 5년이 걸렸는데, 그 간격이 점점 짧아지고 있다. 이미 사스, 메르스 사태를 거치면서 감염내과 분야 및 의료과학 분야에 대한 사회적 투자와 인력 양성의 필요성이 사회적으로 중요하게 등장했음에도, 가장 기본적인 전문의 인력은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물렀던 것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병원자본의 입장에서 돈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훨씬 덜 중요한 성형외과 전문의는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도, 감염내과 전문의는 바닥 수준이었다. 그 점에서 공공의대를 신설해 감염내과나 소아외과 등 이른바 비인기 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은 절실하다. 병원자본의 이윤이 아니라 사회적 필요라는 기준에 근거하면 말이다.

 

정부의 정책은 여전히 자본주의적이다

 

의사들의 수를 계속 제한해 독점적 지위를 유지함으로써 밥그릇을 챙기려는 다수 의사의 항의는 결코 지지할 수 없다. 정부의 의료정책에 대한 진정한 비판은 그것이 여전히 자본주의 의료산업의 테두리에 갇혀 있다는 데 맞춰져야 한다. 공공의료를 전면화하는 대신, 여전히 민간의료 중심으로 자본주의적 테두리 내에서 접근하고 있다는 것이다.

 

보건소나 지역 공공병원 등 공공보건의료 비중은 OECD 평균 73%에 비해서도 아주 낮은 최하위 수준이다. 한국의 공공의료 비중은 병상수 기준으로 영국 100%, 캐나다 99.1%, 호주 69.2%, 프랑스 62.3%, 독일 40.4% 등과 비교조차 할 수 없이 낮은 수준이며, 민간의료가 발달한 미국의 24.9%와 일본 26.3%에 비해서도 매우 낮은 10% 전후에 불과하다. 하지만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해서나, 지방의 의료 취약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나 공공병원과 같은 공공의료시스템은 필수적이다.

 

사회적 필요에 대해서는 전혀 관심이 없는 민간의료기관은 질병 예방보다는 사후 치료를 통한 수익 창출에 집중한다. 이윤이 목표이면, 오히려 질병이 늘어나는 게 시장이 창출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예방은 그런 시장을 좁힐 뿐이다. 이것은 의료복지 악화는 물론, 사회가 지불해야 할 의료 총비용을 늘리는 이유가 된다. 민간병원산업은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을 예방하고 차단하는 데 투자할 이유도 없다. 실제로 민간병원은 수익성이 없는 격리병실이나 음압병실을 설치하지 않고 있다. 공공의대를 설립해 역학조사관이나 감염내과 전문의를 양성하더라도, 이들이 취업할 병원이 없어 문제가 된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의대 정원을 늘리겠다는 정부의 정책은 그 점에서 언 발에 오줌 누기밖에 되지 않는다. 공공병원을 대대적으로 확대하고 의료시스템을 공공적으로 재편하기 위한 실효적 정책들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병원 대자본의 영향력 확대에 따라 점차 변방으로 밀려나는 개인병원들을 적절한 방식으로 공공의료체계에 통합해 사회화하려는 프로그램은 없다. 폐원된 진주의료원과 같은 지방 공공의료원을 대규모로 부활, 신설하겠다는 계획도 없다. 재벌 법인세나 대형 사립병원 특별세 등을 통해 사회적 재원을 만들어, 이런 공공병원들을 확대하겠다는 정책은 아예 생각조차 않고 있다.

 

오히려 정부의 정책은 민간병원산업을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원격진료 확대 정책은 삼성처럼 IT 기반과 의료를 연결해 새로운 독점시장을 창출하겠다는 대자본들에게 새로운 먹잇감을 던져주고, 의료서비스의 질을 낮추는 것이다. ‘데이터산업활성화전략에 정부가 포함시키고 있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규제 완화도 그동안 민간보험사가 겨냥해왔던 헬스케어서비스 진출을 열어주는 것이다.

 

게다가 문재인 케어를 위해 건강보험 재정 지출을 늘려왔는데, 그 대부분은 건강보험료 인상으로 노동자, 민중의 부담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내년도 건강보험료만 해도 3.49% 정도의 높은 인상이 예고돼 있다. 지방의 부족한 의료서비스도 지방 의료보험 수가를 인상해 개선하겠다고 하는데, 이것은 이윤 중심의 민간병원들의 구미를 충족시켜 지방 의료복지의 틈을 메우겠다는 아주 얕은 술책일 뿐이다.

 

자본주의 테두리를 과감히 넘어서야!

 

의료를 병원자본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병원을 의료에 맞춰야 한다. 병원자본의 논리를 거부하고, 공공의료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그것의 가장 기본적인 출발점은 민간병원을 공공병원으로 재편하는 것이다. 이런 공공적인 조치를 거부하고, 이윤의 논리에 영합해 의료자본 중심의 구조 안에서 의료복지에 접근하는 순간 기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그나마 선한 의도로 접근하는 의사 인력 증원이나 공공의대 설립 등의 조치들도 이런 급진적 조치와 결합하지 않는다면 실효성은 없을 것이다. 기껏해야 병원산업이 대자본 중심으로 재편되는 과정을 촉진하고, 민간 중소병원들의 몰락을 재촉할 뿐이다.

 

그렇다고 공공의료 대신 중소병원의 이익 중심으로 접근하는 의사협회의 파업이 정의로운 건 아니다. 파업의 요구 중 하나인 원격의료 반대는 물론 정당하다. 하지만 원격진료 확대에 따라 병원 대자본의 영향력이 확대됨으로써 중소병원의 시장점유율이 낮아지는 것에 대한 반대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의사들의 보람 있는 사회적 공공노동의 가치를 되살리는 방법은 공공의료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정당한 사회적 보수를 받으면서, 사회적 존경을 끌어내고 신성한 노동의 가치를 온전하게 실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의료의 공공화를 바탕으로 교육제도 전반의 전면적인 개혁이 동반돼야 한다. 모든 의대를 국유화해서 운영하고 전액 국가장학금을 지급하는 것이다. 대신 그렇게 사회가 투자한 대가로 모든 의사들이 공공의료기관에서 노동에 따른 정당한 보수를 받으면서 공무원의 자격으로 사회를 위해 일하게 하는 것이다. ‘나의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첫째로 생각하겠노라라는 히포크라테스의 선서를 실현하는 진짜 의사의 길을 열어주는 것이다. 탐욕스러운 출세욕이나 높은 보수에 대한 기대감이 아니라, 진정 생명을 지키는 의사가 돼 인간과 사회에 기여하려는 젊은이들에게 길을 열어주는 것이다.

 

예방 중심의 의료체계로의 전환, 예방의학과 의과학의 발전에 따른 사회적 의료비용의 절감, 평등한 의료복지 제공, 무상 의료 등 원대한 목표를 향해 나아가기 위해서는 자본의 논리를 과감히 뛰어넘는 급진적 전망이 필요하다. 문재인 정부가 아니라, 코로나19 재난의 최일선에서 일하는 의료산업 노동자들, 공공의료를 내걸고 투쟁하는 의료산업 노동자들이야말로 이런 정책을 실천에 옮길 수 있는 주인공들이다. 왜냐하면 공공의료의 전진을 통해서 이 노동자들은 의료자본의 손아귀에서 벗어나 안정된 일자리와 함께, 긍지와 자부심을 갖고 당당하게 사회를 위해 마음껏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얻기 때문이다.

페이스북 페이지 노동해방투쟁연대

텔레그램 채널 가자! 노동해방 또는 t.me/nht2018

유튜브 채널 노해투

이메일 nohaetu@jinbo.net

■ 출력해서 보실 분은 상단에 첨부한 PDF 파일을 누르세요.

■ 기사가 도움이 됐나요? 노동자의 눈으로 세상을 보는 온라인 정치신문 <가자! 노동해방>을 후원해 주세요!

후원계좌 우리은행 1002-058-254774 이청우

목록

Total 963건 5 페이지
게시물 검색
로그인
노해투